메인화면_클리닉_종합검진센터
질병은 미리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유익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비용-효과면에서도 질병이 진행된 다음에 치료하는 것 보다 유리합니다.
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는 만 40세와 만 66세입니다.
-건강진단대상자는 지역에 제한 없이 자율적으로 건강진단 및 2차 건강진단기관을 선택하여 건강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①건강진단대상자가 1차 건강진단기관과 달리하여 2차 건강진단기관에서 사후상담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, 1차 건강진단기관에서 통보 받은 “생애전환기 건강진단 1차 결과 통보서”와 “건강위험평가 결과통보서”를 필히 지참해야 합니다.
②다만, “생애전환기 건강진단 1차 결과 통보서”와 “건강위험평가 결과통보서”를 분실 또는 수령치 못한 경우에는 1차 건강진단기관에 재발급을 요청 할 수 있습니다.
-진찰 및 상담은 반드시 의사가 실시해야 하며 수검자가 작성한 문진표의 과거병력, 생활습관, 현재의 신체 증상 및 증세 등에 대한 상담을 하게 됩니다.
1차 건강진단 | ||
---|---|---|
1차 건강진단 접수 | 수검자 확인 (만 40세, 만 66세) |
- |
문진표 작성 | 1. 건강진단 문진표 2. 구강검진 문진표 3. 특정암검사 문진표 |
* 건강진단 문진표 구성 가족력, 과거력, 예방접종력, 흡연력, 음주 습관, 신체활동 또는 운동, 최근 기분 상태 인지기능, 일상생활수행 능력(만 66세) |
신체계측 | 1. 신장 및 체중 2. 허리둘레 3. 혈압측정 4. 시력, 청력 진찰 및 상담 |
|
임상검사 | 1. 구강검사 2. 흉부방사선 촬영 3. 요검사 4. 혈액검사 5. 특정암검사 6. 골밀도검사 (만66세 여성) 7. 노인신체기능검사 (만 66세) |
혈액검사 구성 Hb, FBS, T-chol, AST, ALT, r-GTP, HBsAg/Ab, HDL, TG, LDL, Cr |
1차 건강진단 결과 통보서 작성 및 발송 | 1. 1차 건강진단 2. 건강위험성평가 및 정신건강검사 3. 구강검진 4. 특정암검사 5. 노인기능평가 (만 66세) |